Backend Development

HTTPS: 웹 보안의 기본, 안전한 통신의 시작

Kun Woo Kim 2025. 5. 29. 01:03
728x90

오늘날 우리는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개인정보와 중요한 데이터를 주고받습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의 안전성은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웹 보안의 기본이 되는 HTTPS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 vs HTTPS: 왜 HTTPS가 필요한가?

HTTP의 한계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의 기본이 되는 통신 규약입니다. 하지만 HTTP는 데이터를 평문(암호화되지 않은 형태)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보안 위험이 있습니다:

  • 데이터 탈취 위험
  • 중간자 공격(Man-in-the-Middle Attack) 가능성
  • 데이터 변조 위험

HTTPS의 등장

이러한 보안 위험을 해결하기 위해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가 등장했습니다. HTTPS는 HTTP에 SSL/TLS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식입니다.


HTTPS의 핵심 구성 요소

1. SSL/TLS 인증서

HTTPS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인증 기관(Certificate Authority, CA)으로부터 SSL/TLS 인증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인증서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됩니다:

  • CA의 이름
  • 서버의 공개키
  • 서버의 도메인 정보
  • 인증서 유효 기간

2. 암호화 방식

HTTPS는 두 가지 암호화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합니다:

  1. 비대칭 암호화(공개키 암호화)

    • 초기 연결 설정 시 사용
    • 공개키와 개인키 쌍으로 구성
    • RSA, ECC 등의 알고리즘 사용
  2. 대칭 암호화

    • 실제 데이터 통신 시 사용
    • 동일한 키로 암호화와 복호화 수행
    • AES, ChaCha20 등의 알고리즘 사용

HTTPS 동작 원리: TLS 핸드셰이크

TLS 핸드셰이크는 HTTPS 통신의 시작점입니다. 이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1. Client Hello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을 시도
    • 지원하는 암호화 알고리즘 목록 전송
    • 무작위 값(Client Random) 생성하여 전송
  2. Server Hello

    • 서버가 선택한 암호화 알고리즘 응답
    • 서버의 인증서 전송
    • 무작위 값(Server Random) 생성하여 전송
  3. 인증서 검증

    •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인증서를 CA의 공개키로 검증
    • 인증서의 유효성과 신뢰성 확인
  4. 키 교환

    • Pre Master Secret 생성
    • 서버의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전송
    • Master Secret 생성
    • 세션 키 도출
  5. 안전한 통신 시작

    • 생성된 세션 키로 대칭키 암호화 통신 시작

HTTPS 적용의 이점

  1. 데이터 보안

    • 전송 데이터 암호화
    • 중간자 공격 방지
    • 데이터 무결성 보장
  2. 신뢰성 향상

    • 사용자에게 안전한 서비스 제공
    • 브라우저의 보안 표시(자물쇠 아이콘)
    • SEO 점수 향상
  3. 법적 요구사항 충족

    • 개인정보보호법 준수
    • 결제 정보 보호
    • 산업 표준 준수

결론

HTTPS는 현대 웹의 필수적인 보안 요소입니다. 데이터의 안전한 전송을 보장하고,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모두에게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웹 개발자라면 반드시 이해하고 적용해야 할 핵심 기술입니다.

참고 자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