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의 동시성 모드(Concurrent Mode):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는 비밀 무기
·
Frontend Development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사용자 경험(UX)을 향상시키기 위해 항상 고민합니다. 특히 복잡한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상호작용의 응답성을 유지하는 것은 큰 도전입니다. React 18에서 정식으로 도입된 '동시성 모드(Concurrent Mode)'는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React 팀의 혁신적인 접근법입니다.동시성 모드란 무엇인가?React의 동시성 모드는 여러 작업을 비동기적으로 동시에 처리하면서도 중간에 더 중요한 작업이 들어오면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먼저 처리하는 기능입니다. 이전의 React는 스택 구조로 동작했습니다. 즉, 한 번 렌더링을 시작하면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까지 중단 없이 진행되어야 했습니다. 이는 마치 하나의 큰 작업을 처리하는 요리사가 중간에 들어온 긴급한 주문을 받을 수 없..
script 태그의 성능 최적화: async와 defer 속성 완벽 가이드
·
Frontend Development
이미지 출처 - https://medium.com/@saravanaeswari22/javascript-async-defer-attributes-a30b7eb8e993"웹사이트의 성능은 사용자 경험의 핵심 요소입니다. 단 1초의 로딩 지연도 이탈률을 크게 높일 수 있습니다. script 태그의 실행 방식을 최적화하는 것만으로도 체감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웹 개발에서 자바스크립트 파일을 불러오는 방식은 페이지 로딩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브라우저는 HTML을 파싱하다가 위와 같은 스크립트 태그를 만나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HTML 파싱을 일시 중지합니다.자바스크립트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즉시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스크립트 실행이 완료된 후 HTML 파싱을..
React 성능 최적화: 메모이제이션 기법으로 불필요한 리렌더링 방지하기
·
Frontend Development
이미지 출처 - https://www.geeksforgeeks.org/what-is-memoization-in-react/"모든 최적화는 측정에서 시작한다. 성능 개선 작업은 실제 병목을 해결할 때만 가치가 있다."여러분의 React 애플리케이션이 느리게 동작하나요? 컴포넌트가 필요 이상으로 자주 리렌더링되고 있지는 않나요? 이 글에서는 React의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 기법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목차React의 렌더링 메커니즘 이해하기불필요한 리렌더링이 발생하는 상황메모이제이션 기법 소개React.memo로 컴포넌트 최적화하기useMemo로 계산값 최적화하기useCallback으로 함수 최적화하기성능 측정 및 병목 식별하기메모이제이션의 ..
CORS 완벽 가이드: 웹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
·
Frontend Development
"웹 개발에서 CORS 오류는 마치 갑자기 나타난 벽과 같습니다. 그러나 이 벽은 우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올바른 문을 찾아 통과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목차CORS란 무엇인가?동일 출처 정책(Same-Origin Policy)CORS가 필요한 이유CORS 작동 방식CORS 구성 방법일반적인 CORS 오류와 해결 방법보안 고려사항실제 구현 예제결론CORS란 무엇인가?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는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 중인 웹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출처(도메인, 프로토콜, 포트)의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보안 메커니즘입니다."출처(Origin)"란 URL의 프로토콜, 도메인, 포트 번호의 조합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React의 Error Boundary: 안정적인 프론트엔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필수 요소
·
Frontend Development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경험은 단순한 기능 구현만큼이나 중요합니다.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했을 때도 애플리케이션이 완전히 중단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목차Error Boundary란?Error Boundary가 필요한 이유Error Boundary 구현 방법실제 사용 사례선언형 에러 처리의 장점Error Boundary의 한계와 대안결론Error Boundary란?Error Boundary는 React 컴포넌트 트리에서 발생하는 자바스크립트 오류를 감지하고, 오류가 발생했을 때 폴백(fallback) UI를 표시하는 특수한 React 컴포넌트입니다. 이는 React 16에서 도입된 개념으로, 전체 애플리케이션이 오류로 인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합니다.E..
JavaScript Promise 완벽 가이드: resolve()와 fulfilled 상태 이해하기
·
Frontend Development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Promise의 핵심 개념목차Promise란 무엇인가?resolve()와 fulfilled의 차이점실제 코드로 이해하기Promise의 상태 흐름자주 묻는 질문마무리Promise란 무엇인가?현대 JavaScript 개발에서 비동기 처리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네트워크 요청, 파일 읽기, 타이머 등 시간이 걸리는 작업을 처리할 때 코드 실행을 블로킹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Promise를 사용합니다.Promise는 비동기 작업의 최종 완료(또는 실패)와 그 결과값을 나타내는 객체입니다. 쉽게 말해, "나중에 완료될 작업"을 나타내는 객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Promise 기본 형태const myPromise = new Promise((resolve,..
자바스크립트의 함수 정의 방식: 선언식 vs 표현식 완벽 가이드
·
Frontend Development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를 정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두 가지 방식인 '함수 선언식'과 '함수 표현식'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은 자바스크립트 개발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기초 지식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방식의 차이점과 각각의 장단점,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함수 선언식(Function Declaration)함수 선언식은 function 키워드로 시작하여 함수 이름을 명시적으로 지정하는 방식입니다.function add(a, b) { return a + b;}console.log(add(2, 3)); // 5함수 선언식의 가장 큰 특징은 호이스팅(Hoisting)이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호이스팅이란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코드를 실..
Next.js와 FastAPI로 구현하는 JWT 인증 및 OAuth(카카오, 구글) 소셜 로그인 시스템
·
Frontend Development
본 글에서는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요소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Next.js와 FastAPI를 활용하여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특히 JWT(JSON Web Token)와 Redis를 활용한 안전한 인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방법을 실제 코드 예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GitHub 저장소: 코드 보러가기목차프로젝트 소개기술 스택인증 시스템 설계소셜 로그인 구현백엔드 구현프론트엔드 구현보안 고려사항결론프로젝트 소개본 프로젝트는 Next.js와 FastAPI를 기반으로 한 영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JWT와 Refresh Token을 활용한 안전한 인증 시스템을 구현하였습니다. 단순한 로그인/로그아웃 기능을 넘어서, 토큰 자동 갱신과 블랙리스트 관리까지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 필..
Conventional Commits: 협업을 위한 커밋 메시지 표준화 전략
·
Frontend Development
개발 프로젝트에서 동료들의 커밋 메시지를 이해하기 어려웠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혹은 여러 달 전에 자신이 작성한 코드를 다시 살펴볼 때 커밋 메시지만으로는 어떤 변경이 이루어졌는지 파악하기 힘들었던 적이 있으신가요? Conventional Commits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Conventional Commits란?Conventional Commits는 커밋 메시지를 구조화된 형식으로 작성하기 위한 규칙입니다. 이 규칙은 Angular 팀에서 처음 도입한 커밋 메시지 형식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현재는 많은 개발팀과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optional scope]: [optional body][optional footer(s)]예..
DOM 이벤트 전파(Event Propagation) 완벽 가이드
·
Frontend Development
웹 개발에서 자주 마주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이벤트 전파(event propagation)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벤트 전파의 원리와 실전 활용법을 쉽고 명확하게 설명합니다.이벤트 전파란?이벤트 전파는 DOM(Document Object Model)에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그 이벤트가 어떤 경로로 전달되는지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이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효율적으로 이벤트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이벤트 전파의 3단계이벤트 전파는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이루어집니다:단계설명캡처링이벤트가 최상위 요소(document)에서 시작해 타깃 요소로 내려감타겟이벤트가 실제로 발생한 요소(타깃)에 도달버블링타깃 요소에서 다시 상위 요소로 이벤트가 전파되며 올라감각 단계의 동작 방식캡처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