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백트래킹(Backtracking): 효율적인 완전탐색의 기술
·
Algorithm/알고리즘
이미지 출처 - https://www.geeksforgeeks.org/backtracking-meaning-in-dsa/"모든 가능성을 탐색해야 하지만 불필요한 경로는 빠르게 포기하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백트래킹은 마치 미로에서 막다른 길을 만났을 때 이전 갈림길로 되돌아가는 전략적 탐색과 같습니다."목차백트래킹이란?완전탐색과 백트래킹의 차이백트래킹의 적용 조건백트래킹의 동작 원리재귀 함수를 활용한 백트래킹 구현핵심 예제: 순열 구하기시간복잡도 분석백트래킹 문제 유형과 판단 기준실전 구현 팁대표적인 백트래킹 문제결론백트래킹이란?백트래킹(Backtracking)은 해를 찾는 도중에 막히면(해가 아니면) 되돌아가서 다시 해를 찾아가는 알고리즘입니다. 가능한 모든 경로를 탐색하되, 특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
2. DFS(깊이 우선 탐색): 재귀 함수를 활용한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의 이해
·
Algorithm/알고리즘
이미지 출처 - https://skilled.dev/course/depth-first-search"그래프를 탐색하는 것은 미로를 탐험하는 것과 같습니다. DFS는 한 길을 끝까지 탐색한 후 다시 돌아와 다른 길을 탐색하는 방식으로, 깊이 있는 탐험을 선호하는 여행자와 같습니다."목차그래프 탐색의 기본 개념DFS란 무엇인가?DFS와 BFS의 차이점재귀 함수의 이해DFS의 동작 원리시간 복잡도 분석DFS 구현에 필요한 자료구조실전 문제 분석: 백준 2667번코드 구현 가이드복습 전략 및 추천 문제결론그래프 탐색의 기본 개념그래프 탐색이란 그래프 구조에서 모든 노드(정점)를 체계적으로 방문하는 과정입니다. 컴퓨터 과학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알고리즘 중 하나로, 다양한 실생활 문제 해결에 응용됩니다.그..
1. BFS(너비 우선 탐색):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의 핵심 이해하기
·
Algorithm/알고리즘
이미지 출처 - https://skilled.dev/course/breadth-first-search"모든 길을 가장 효율적으로 탐색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알고리즘의 핵심 과제입니다. BFS는 마치 물결이 퍼지듯 가까운 곳부터 체계적으로 탐색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목차BFS란 무엇인가?BFS vs DFS: 핵심 차이점BFS의 동작 원리시간 복잡도 분석필요한 자료구조실전 문제 분석: 백준 1926번코드 구현 단계별 가이드최적화 전략과 주의사항학습 전략 및 추천 문제결론BFS란 무엇인가?BFS(Breadth-First Search, 너비 우선 탐색)는 그래프나 트리 구조에서 모든 노드를 효율적으로 방문하기 위한 알고리즘입니다. 시작 노드에서부터 가까운 노드를 먼저 방문하고, 멀리 있는 노드를 나중에 방문하..
Next.js와 FastAPI로 구현하는 JWT 인증 및 OAuth(카카오, 구글) 소셜 로그인 시스템
·
Frontend Development
본 글에서는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요소인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Next.js와 FastAPI를 활용하여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특히 JWT(JSON Web Token)와 Redis를 활용한 안전한 인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방법을 실제 코드 예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GitHub 저장소: 코드 보러가기목차프로젝트 소개기술 스택인증 시스템 설계소셜 로그인 구현백엔드 구현프론트엔드 구현보안 고려사항결론프로젝트 소개본 프로젝트는 Next.js와 FastAPI를 기반으로 한 영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으로, JWT와 Refresh Token을 활용한 안전한 인증 시스템을 구현하였습니다. 단순한 로그인/로그아웃 기능을 넘어서, 토큰 자동 갱신과 블랙리스트 관리까지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 필..
Conventional Commits: 협업을 위한 커밋 메시지 표준화 전략
·
Frontend Development
개발 프로젝트에서 동료들의 커밋 메시지를 이해하기 어려웠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혹은 여러 달 전에 자신이 작성한 코드를 다시 살펴볼 때 커밋 메시지만으로는 어떤 변경이 이루어졌는지 파악하기 힘들었던 적이 있으신가요? Conventional Commits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Conventional Commits란?Conventional Commits는 커밋 메시지를 구조화된 형식으로 작성하기 위한 규칙입니다. 이 규칙은 Angular 팀에서 처음 도입한 커밋 메시지 형식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현재는 많은 개발팀과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optional scope]: [optional body][optional footer(s)]예..
DOM 이벤트 전파(Event Propagation) 완벽 가이드
·
Frontend Development
웹 개발에서 자주 마주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이벤트 전파(event propagation)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벤트 전파의 원리와 실전 활용법을 쉽고 명확하게 설명합니다.이벤트 전파란?이벤트 전파는 DOM(Document Object Model)에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그 이벤트가 어떤 경로로 전달되는지를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이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효율적으로 이벤트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이벤트 전파의 3단계이벤트 전파는 다음과 같은 세 단계로 이루어집니다:단계설명캡처링이벤트가 최상위 요소(document)에서 시작해 타깃 요소로 내려감타겟이벤트가 실제로 발생한 요소(타깃)에 도달버블링타깃 요소에서 다시 상위 요소로 이벤트가 전파되며 올라감각 단계의 동작 방식캡처링..
JavaScript Promise 완벽 가이드: 비동기 처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
Frontend Development
JavaScript의 비동기 처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Promis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Promise의 개념, 상태, 사용법, 그리고 한계점까지 포괄적으로 다룹니다.Promise란?Promise는 JavaScript에서 비동기 작업을 관리하고, 해당 작업의 성공 또는 실패 결과를 나중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입니다. 쉽게 말해, Promise는 비동기 작업의 완료 여부를 "약속"해주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Promise의 등장 배경기존의 콜백 기반 비동기 처리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콜백 지옥 예시fetchData(function(data) { processData(data, function(processedData) { sa..
React useEffect 훅 완벽 가이드: 호출 시점과 사용법
·
Frontend Development
React를 사용하면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훅 중 하나인 useEffect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useEffect의 호출 시점과 실제 사용 예시를 통해 효과적인 사용법을 설명합니다.useEffect란?useEffect는 React의 핵심 훅 중 하나로, 컴포넌트의 생명주기와 관련된 부수 효과(side effects)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데이터 페칭, 구독 설정, DOM 수동 조작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useEffect의 호출 시점useEffect는 크게 세 가지 시점에서 호출됩니다:컴포넌트 마운트 시의존성 배열 값 변경 시컴포넌트 언마운트 시1. 컴포넌트 마운트 시컴포넌트가 처음 렌더링된 직후에 호출됩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합니다:AP..
CSS Flexbox vs Grid: 현대 웹 레이아웃의 두 가지 접근 방식
·
Frontend Development
들어가며현대 웹 개발에서 레이아웃을 구성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CSS 기술이 있습니다. 바로 Flexbox와 Grid입니다. 이 두 기술은 각각의 고유한 특성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Flexbox와 Grid의 차이점과 각각의 사용 사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기본 개념 비교FlexboxFlexbox는 1차원 레이아웃 모델로, 주로 행(row) 또는 열(column) 중 하나의 방향으로 요소를 배치할 때 사용됩니다..container { display: flex; flex-direction: row; /* 또는 column */ justify-content: space-between; align-items: cente..
JavaScript의 undefined와 null: 그 차이점과 사용법
·
Frontend Development
들어가며JavaScript를 처음 배우는 개발자들이 가장 혼란스러워하는 개념 중 하나가 undefined와 null의 차이점입니다. 둘 다 "값이 없다"는 의미를 나타내지만, 그 용도와 동작 방식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개념의 차이점과 실제 사용 사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undefined와 null의 기본 개념undefinedundefined는 JavaScript에서 변수가 선언되었지만 값이 할당되지 않았을 때 자동으로 할당되는 값입니다.let a;console.log(a); // undefinedlet b = undefined;console.log(b); // undefinednullnull은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값이 없음"을 나타내기 위해 할당하는 값입니다.le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