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 InnoDB의 락킹 메커니즘: 갭락과 넥스트키 락 이해하기
·
Backend Development
서론데이터베이스에서 트랜잭션의 격리성(Isolation)을 보장하기 위한 락킹 메커니즘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MySQL InnoDB 엔진은 갭락(Gap Lock)과 넥스트키 락(Next-Key Lock)이라는 독특한 락킹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팬텀 리드(Phantom Read) 현상을 방지합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락킹 메커니즘의 개념과 동작 방식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팬텀 리드(Phantom Read)란?팬텀 리드는 트랜잭션 격리성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합니다:트랜잭션 A가 특정 조건으로 데이터를 조회트랜잭션 B가 새로운 데이터를 삽입트랜잭션 A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조회할 때, 이전에 없던 새로운 데이터가 나타남예시 코드-- 트랜잭션 A 시작START TR..
CORS 이해하기: 크로스 오리진 리소스 공유의 모든 것
·
Backend Development
서론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출처(Origin)의 리소스를 활용합니다. 이때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가 등장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CORS의 개념, 필요성, 그리고 작동 방식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CORS의 기본 개념1. CORS란?CORS는 서로 다른 출처 간의 리소스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보안 메커니즘입니다. 여기서 출처(Origin)는 다음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프로토콜 (http, https)도메인 (example.com)포트 (80, 443 등)2. 출처 비교 예시URL 1URL 2동일 출처 여부https://example.comhttps://example.comOhttps://example.comht..
Spring AOP와 @Transactional: private 메서드에서의 동작 방식
·
Backend Development
서론Spring Framework에서 @Transactional 애너테이션은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관리를 위한 핵심 기능입니다. 그러나 이 애너테이션이 private 메서드에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Spring AOP의 동작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Spring AOP의 동작 원리와 @Transactional이 private 메서드에서 동작하지 않는 이유, 그리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Spring AOP의 동작 원리1. AOP 프록시 생성 방식Spring AOP는 런타임에 동작하며, JDK Dynamic Proxy와 CGLIB 두 가지 방식으로 프록시를 생성합니다.JDK Dynamic Proxy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에 적용public 메서..
네트워크 타임아웃 이해하기: Connection, Socket, Read Timeout
·
Backend Development
서론네트워크 통신에서 타임아웃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특히 Connection Timeout, Socket Timeout, Read Timeout은 각각 다른 시점에서 발생하며, 각각의 역할과 중요성이 다릅니다. 본 글에서는 이 세 가지 타임아웃의 차이점과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타임아웃의 종류와 특징1. Connection TimeoutConnection Timeout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을 시도할 때, 일정 시간 내에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발생하는 타임아웃입니다.주요 특징TCP 3-way-handshake 과정에서 발생서버의 장애나 응답 지연으로 인해 연결 실패 시 발생연결 수립 단계의 타임아웃2. Socket TimeoutSocket Timeout은 ..
React 컴포넌트 설계의 핵심: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방법
·
Frontend Development
📝 들어가며React를 사용하면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바로 '컴포넌트'입니다. 컴포넌트는 React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구성 요소로, UI를 구성하는 독립적이고 재사용 가능한 코드 조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React 컴포넌트의 기본 개념부터 설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사항들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React 컴포넌트란?React 컴포넌트는 UI를 구성하는 독립적이고 재사용 가능한 코드 조각입니다. 마치 레고 블록처럼, 작은 컴포넌트들을 조합하여 복잡한 UI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컴포넌트의 종류React 컴포넌트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클래스형 컴포넌트ES6의 class 문법을 사용state와 생명주기 메서드 사용 가능더 복잡한 로직 구현 가능함수형 컴포넌트Hooks의 도입으..
브라우저 저장소 API: localStorage vs sessionStorage vs Cookie 완벽 가이드
·
Frontend Development
이미지 출처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9867599/what-is-the-difference-between-localstorage-sessionstorage-session-and-cookies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클라이언트 측 데이터 저장은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이 글에서는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세 가지 주요 저장 방식인 localStorage, sessionStorage, Cooki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브라우저 저장소 API란?브라우저 저장소 API는 웹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이언트 측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해주는 웹 스토리지 솔루션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키-값 쌍 형태로 데이터 저장문자열 데이터만 저장 가능동일 출처 정책(Same-..
React 로딩 상태 관리: useEffect vs Suspense
·
Frontend Development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데이터 로딩 상태를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글에서는 전통적인 useEffect를 이용한 방식과 React의 새로운 기능인 Suspense를 활용한 방식을 비교해보겠습니다.useEffect를 이용한 로딩 상태 관리기본 구현 방식function UserProfile() { const [data, setData] = useState(null); const [isLoading, setIsLoading] = useState(true); const [error, setError] = useState(null); useEffect(() => { const fetchData = async () => { try { setIsLoading(true)..
React 라이프사이클과 Next.js: 차이점 완벽 가이드
·
Frontend Development
React와 Next.js는 현대 웹 개발에서 가장 인기 있는 기술 스택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React의 라이프사이클과 Next.js의 차이점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React의 라이프사이클이란?React 컴포넌트는 생성되고, 업데이트되고, 사라지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 과정을 라이프사이클(Lifecycle)이라고 부릅니다. React는 클래스 컴포넌트와 함수형 컴포넌트 두 가지 방식으로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1. 클래스 컴포넌트의 라이프사이클class MyComponent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 { super(); console.log("1. 생성"); // 초기화 } componentDidMount() { co..
프론트엔드 상태 관리: Flux, Proxy, Atomic 패턴과 주요 라이브러리 비교
·
Frontend Development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상태 관리는 가장 중요한 고민거리 중 하나입니다.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데이터 흐름을 예측 가능하게 만들어 줍니다.이 글에서는 상태 관리의 세 가지 주요 접근 방식(Flux, Proxy, Atomic)과 각 패턴을 구현한 대표적인 라이브러리들(Redux, Zustand, Recoil)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상태 관리의 세 가지 접근 방식1. Flux 패턴Flux는 Facebook에 의해 소개된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로, 주로 React와 함께 사용됩니다. Flux의 핵심 아이디어는 "단방향 데이터 흐름"입니다.주요 구성요소Dispatcher: 모든 데이터 흐름의 중앙 허브Stores: 애플리케이션의 상태와 로직Vie..
Shadow DOM 완전 정리: 웹 컴포넌트의 핵심 기술
·
Frontend Development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컴포넌트 기반 아키텍처가 중요해지면서, Shadow DOM의 중요성도 함께 커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hadow DOM의 개념부터 실제 사용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이미지 출처 - https://www.ionos.com/digitalguide/websites/web-development/shadow-dom/Shadow DOM이란?Shadow DOM은 웹 컴포넌트(Web Components)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DOM 캡슐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입니다. 쉽게 말해, 컴포넌트 내부의 DOM과 스타일을 외부로부터 격리시키는 기술입니다.기본 개념 #shadow-root (open) Hello Shadow DOM위 예시에서 볼 수 있듯이, Shadow DOM은..